2016~2017
Artwork


<self portrait> series

self portrait 1_34.8x27.3_oil on canvas_2016
self portrait 2_90.9x72.7_oil on canvas_2016
self portrait 3_53.0x45.5_oil on drawing board_2016
나 자신은 완성된 사람인가. 완성되어 질수 있는 사람인가.
사람은 죽기 전까지 완성될 수 있나. 죽음으로 모든 완성을 종결짓는가.
처음 생을 부여받고 죽음으로 걸어가는 과정 안에 완성이 종용될 수 있나.
이 연작 속에서 나는 미완성인 ‘나’와 함께 한 프레임 안에 담길 것이다.
완성의 판단은 타자가 내리는 것일 테지만 완성을 위한,
그 첫 발자국이 될 것이며, 나 자신의 완성이 아닌 다른 사람의
완성을 위한 발화점으로서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Derived self-portrait series

Born 53.0x45.5 oil on drawing board 2017
savior 130.3x97.0 oil on canvas 2017

“아름다움의 힘으로 순결을 중매로 변신시키는 것이, 순결의 능력으로 아름다움을 자기와 비슷하게
변화시키는 것보다 더 빠르니까. 이게 전에는 궤변이었으나, 지금은 세상이 그걸 증명하고 있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스스로 문책 할 수 있다는 죄들 때문에
어머니가 날 낳지 말았으면 좋았을 거라고, 난 대단히 오만하며 복수심에 불타고, 야심만만하며,
내가 범할 수 있는 죄목은 생각을 해보거나, 상상 속에서 형체를 부여하거나,
시간을 두고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숫자보다 더 많다고…”
(‘햄릿’중 오필리아와의 대화)
작가의 작품은 자신을 표상 할 수밖에 없다. 이번 작업 뿐 아니라 변화해 가고 있다고 생각되던
작품의 노선은 되돌아보면 같은 선상에 놓여 있었다.
작품을 카타르시스의 목적으로 쓰면 안된다고 한다. 이는 맞는 말이고 따라야 할 말이다.
어느 정도는 자신의 신념이 필요하다고는 하나, 그걸 넘어 예술이 배설의 욕구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면 어떤가. 결코 옳다고는 단언 할 수 없다.
작업을 시작할 때 수많은 이론과 이념을 거쳐 하나의 가설을 완성해 적용했다고 확신했지만,
그동안의 작업물들은 결국 배출을 위한 수단이었으니. 부끄럽게도 나는 자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작업을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야 할 때가 오면 여러 잡기적인 지식과 개념들로 점철해
아름다움의 힘으로 순결을 중매로 변신 시킬 수 있었다. 이는 나쁜 것은 아니나 그다지 좋은 것도 아니다.
작품은 관객의 동조가 필요하고 공감이 필요하다. 물론 나의 작품에 그들이 동감할 수 있는
요소가 없는 것은 아니나, 이대로 계속 작업을 진행하다간
내 자신의 주체에 갇혀 보이지 않는 감옥에서 홀로 소리 지르고 있게 되는 것은 아닌가하는 회한이 든다.
-2016 어형진 작가노트 중
Untitled 17.3x18.9 mix material on paper 2017
Untitled 18.9x21.5 mix material on paper 2017




Untitled 15.3x26.5 mix material on paper 2017
Untitled 16.2x26.5 mix material on paper 2017
Footprints for 2018 work
17.2x27.6 mixed material on paper 2017
